씨이랩 주가가 최근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이 회사가 왜 갑자기 투자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게 되었을까? 답은 바로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에 있다.
엔비디아와의 운명적 만남, 씨이랩이 달라졌다
씨이랩은 2019년부터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시작했지만, 진짜 변화는 최근에 일어났다. 2024년 7월, 씨이랩은 엔비디아로부터 '옴니버스 컴피턴시(NVIDIA Omniverse Competency)' 자격을 획득했다. 이는 엔비디아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디지털 트윈 전문 파트너라는 의미다.
그 결과는 놀라웠다. 2024년 씨이랩의 디지털 트윈 사업 매출이 전년 대비 무려 600% 증가한 것이다. 회사 전체 매출도 148% 성장하며 9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성장이 아니라 폭발적 성장이다.
디지털 트윈이란 무엇인가? 왜 반도체 회사들이 열광하는가
디지털 트윈은 실제 공간을 가상으로 완벽하게 복제하는 기술이다. 반도체 공장 같은 곳에서는 수조원이 투입되는 신규 라인 구축 전에 가상으로 먼저 만들어 최적화를 진행한다. 로봇 이동 경로부터 공정 최적화까지 모든 것을 미리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씨이랩은 여기에 자신들의 AI 영상분석 기술을 접목했다. 실제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씨이랩만의 차별화 포인트다.
실제 성과가 증명하는 씨이랩의 실력
숫자로 보면 더욱 명확하다. 씨이랩은 현재 국내 대기업 반도체 회사들과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기흥 소재 반도체 기업의 설계라인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하는 확장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2024년 3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438%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4분기에도 약 50% 성장을 유지하며 견조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이는 일회성 성장이 아닌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했다는 증거다.
블랙웰 GPU 판매권까지 확보한 씨이랩
씨이랩의 성장 동력은 디지털 트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고성능 GPU인 블랙웰(Blackwell) 판매권도 확보했다. 기존 H100, H200 GPU에 이어 블랙웰까지 판매하게 되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면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씨이랩이 개발한 GPU 최적화 솔루션 '아스트라고(AstraGo)'는 GPU 활용률을 최대 200% 높이고 비용을 50%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AI 인프라 구축 비용이 천문학적인 현 상황에서 매우 매력적인 솔루션이다.
새로운 산업군 진출로 확장성 입증
최근 씨이랩은 새로운 산업군의 신규 고객사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 공급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기존 반도체 중심에서 제조, 건설,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업에서 활용하면 건축가와 엔지니어가 3D로 건물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건설 전에 디자인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함으로써 막대한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VLM 기술과 합성데이터로 완성되는 생태계
씨이랩은 2025년에 거대비전모델(VLM) 기반의 새로운 AI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영상의 인물, 사물, 상황을 더욱 정밀하게 이해하는 'Core VLM' 기술을 개발 중이다.
여기에 합성데이터 생성 솔루션인 '엑스젠(X-Gen)'이 결합된다. 실제 공간과 동일한 가상 환경을 만들고 날씨, 조도 등을 조절해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무한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엔비디아가 CES 2025에서 공개한 '코스모스'와 유사한 기술이다.
투자 관점에서 본 씨이랩의 가치
씨이랩 윤세혁 대표는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5년 내 10배 성장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현재 매출 91억원에서 1000억원 규모로 성장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이런 목표가 허황된 것은 아니다. 디지털 트윈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씨이랩은 이 두 시장에서 모두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리스크 요인도 체크해야
물론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른다. 씨이랩의 사업이 엔비디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 요소다. 엔비디아 정책 변화나 경쟁 관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트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대기업들도 이 시장에 본격 진출하고 있어 씨이랩이 현재의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AI 혁명의 숨은 주역
씨이랩은 AI 시장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트윈 사업의 성공, 그리고 다양한 산업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투자 매력 포인트다.
특히 국내에서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라는 점에서 희소성 가치가 있다. AI 인프라 시장의 성장과 함께 씨이랩의 미래도 밝아 보인다.
다만 높은 성장률만큼 변동성도 클 수 있으니, 투자 전에는 반드시 자신의 리스크 허용 범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